school air

사업개요

연구개발의 정의
  • 1세부
    학교시설의 공기 및 열환경 개선을 위해 수치해석 기반 공기환경 종합진단 시스템 개발

    수치해석 기반 종합진단 시스템은 적은 수의 간단하게 측정 또는 수집 가능한 데이터로 시뮬레이션으로 학교 및 공간 유형별 공기 및 열환경을 간편하게 진단하고 개선을 위한 컨설팅 의사결정 및 개선 효과 분석을 위한 도구로 활용

  • 2세부
    기존학교 공기환경 개선을 위한 유형별 맞춤형 컨설팅 프로세스 개발 및 표준화

    본 연구의 평가대상은 기존에 운영 중인 학교로 유형별 공기환경 현장 측정/진단 프로토콜과 객관적인 공기환경 평가지표를 통한 컨설팅 수행 의사결정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표준운영절차(SOP) 개발

    학교 공기환경 개선 운영 위원회 구성을 통하여 시범사업 대상을 선정하고 100개소 이상의 진단·컨설팅 수행

  • 3세부
    기존학교 공기환경 개선 및 실증

    기계/설비적 개선 실증 수행 및 기존학교 공기환경 개선 성과공개 플랫폼 운영. 실내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하고 적정 이산화탄소 농도 유지, 학교 맞춤형 설치 전략을 수립하고 50개소에 개선안을 실증

    건축적 개선 실증 수행. 기존학교 공기환경 개선을 위해 기밀성 향상(노후 창호, 문 교체), 실내 마감재 성능 향상(미세먼지 저발생형 마감재로의 교체) 등 적정 건축적 개선안을 실증

    개선 후 평가 수행. 개선안이 적용된 학교에 대해 초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열쾌적, 에너지 등 종합적인 공기환경을 평가하고, 학생, 교사 중심의 사용자 평가를 수행

  • 4세부
    IoT 기반 학교 미세먼지 리빙랩 기술 개발

    기존학교의 공기환경 개선을 위해 5개소(일반교실 2개소, 특수교실 2개소, 빈교실 1개소, 체육관・강당 등 1개소)에서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반의 공기환경 데이터수집 및 상시 모니터링이 가능한 빅데이터 시스템을 구축

    빅데이터 및 리빙랩 이용자의 활용도·편의성·능동적 참여를 고려한 DB 구축, 교실 유형별, 실내·외 환경, 재실자 스케줄·활동량·생활패턴 분석

    전국 학교의 다양한 환경인자를 고려해 리빙랩 대상학교 선정 및 교육유관기관, 시민단체, 학계, 산업계 등과 연계하여 리빙랩운영위원회 구축 및 운영

사업개요
  • 기존학교 공기환경 개선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을 위한 학교 유형별 사용특성과 비용-효과 측면에서 물리적 평가요소를 분석하여 최적의 공기환경 개선방법을 제공
  • 공기환경 개선 맞춤형 컨설팅 표준운영절차(SOP)는 지속적인 진단-개선-효과 검증의 선순환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장기적으로는 유지관리의 업무체계까지 포함
  • 단기적 컨설팅 프로세스 체계는

    ① 학교 유형별 공기환경 현장 측정/진단 프로토콜 및 평가지표 적용

    ② 유형별 교실내부 환경등급 종합지표에 의한 정량적 의사결정(Decision Making)기법 개발

  • 기존학교의 다양성(지역별, 유형별, 규모별, 노후도)을 반영한 분류와 시범사업 대상 학교선정 체계화
  • 관련 협의체 구성(운영위원회)과 운영을 통한 공정한 공기환경 개선사업 추진
  • 총 100개소 이상의 단계별 공기환경 측정/진단과 맞춤형 컨설팅을 수행하고 (1단계 40개소, 2단계 60개소) 개선효과 평가 진행
  • 개선사업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비용-효과 분석 기반 시스템 평가 모델 개발은

    ① 환경개선 효과의 비용산출 방법론

    ② 시범사업 시나리오별 시스템 투자비용 DB를 구축

  • 타 연구세부와의 연계성을 강화하여 과제의 목표달성과 성과도출을 극대화
  • 타 세부-사업단과의 연계성 강화하여 전체과제의 목표달성 성과도출 극대화
  • 기존 수행 중인 미세먼지 관련 국가 과제와의 연계성을 높여 연구의 효율성 향상
  • (1세부) 수치해석기반 측정/진단 프로토콜을 현장(Field)기반 측정/진단 프로토콜로 보완 및 현실화하고 (4세부) IoT기반 모니터링(장기측정) 연계
  • (3세부) 50개소 이상의 개선사업 결과와 연계한 거주 후 환경개선 평가(POE) 및 (4세부) 리빙랩 운영 적용기술 종합평가